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주제탐구

인간의본성-주제탐구.ppt






2.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


 


1. 다음의 읽기자료를 읽은 후 각각의 물음에 답하시오.


 




1 고자(告子)가 말하였다. “사람의 성품은 버드나무와 같고, 의(義)는 나무로 만든 그릇과 같으니, 사람의 본성을 가지고 인의를 행함은 버드나무를 가지고 그릇을 만드는 것과 같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대는 버드나무의 성질을 그대로 이용하여 그릇을 만드는가?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장차 버드나무를 해친 뒤에야 그릇을 만들 것이다. 만일 장차 버드나무를 해쳐서 그릇을 만든다면, 또한 장차 사람을 해쳐서 인의(仁義)를 행한단 말인가? 천하 사람을 몰아서 인의(仁義)를 해치게 할 것은 반드시 그대의 이 말일 것이다.”


고자가 말하였다. “사람의 성품은 여울물과 같다. 그리하여 이것을 동쪽 방향으로 터놓으면 동쪽으로 흐르고, 서쪽 방향으로 터놓으면 서쪽으로 흐르니, 사람의 성품이 선함과 불선(不善)함에 구분이 없음은 마치 물이 동·서에 분별이 없는 것과 같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물은 진실로 동서에 분별이 없거니와, 위아래에도 분별이 없단 말인가? 사람의 성품은 선(善)함은 물이 아래로 내려가는 것과 같으니, 사람은 불선(不善)한 사람이 없으며, 물은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것이 없다. 지금 물을 쳐서 튀어 오르게 하면 이마를 지나가게 할 수 있으며, 격동시켜 흘러가게 하면 산에도 오르게 할 수 있거니와, 이것이 어찌 물이 가진 본래 성질이겠는가? 억지로 힘을 가해서 그렇게 만든 것이다. 사람이 불선(不善)한 행동을 하게 함은 또한 그 본성을 이처럼 억지로 변형시키는 것과 같은 것이다.”


맹자, 『고자 편』


 


2 플라톤의 『국가』에 기게스의 반지 이야기가 나온다. 이 이야기를 통해 플라톤은 중요한 도덕적 문제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야기는 이렇다. 왕을 모시던 양치기 기게스는 우연히 반지 하나를 줍는다. 이 반지를 손가락에 끼우고 돌리면 자신의 모습이 다른 사람들에게 안 보이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된 기게스는 그 후 왕을 죽이고 왕비와 나라를 차지한다.


지금 이 곳이 대학수학능력시험장이라고 가정해보자. 알쏭달쏭한 문제 하나가 나를 괴롭히고 있다. 이 문제 하나만 더 맞춘다면 내가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을 것 같다. 어떻하겠는가? 반지를 돌리겠는가?


 


1) 제시문 1을 읽고 인간의 본성에 대한 맹자와 고자의 입장을 교재에 정리하여 적으시오.


 


 


 


 


 


2) 제시문 2를 읽고 자신이라면 어떻게 하겠는지 적으세요. 또한 자신의 악행이 발견될 위험이 전혀 없다고 해도 ‘도덕적으로(선하게)’ 행동할 이유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적으세요.


 


 


 


 


2. 인간의 본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


 



 


 


3. 토론


 


1) 탐구주제 :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


2) 토론소주제 : 인간의 본성에 대한 입장을 정하고, 그 입장에서 악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3) 주제설명: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에는 다양한 범죄들이 일어나고 있으며 사회도 점점 더 이기적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악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각각의 입장을 정하고 근거를 들어 설명하시오. 또한 정한 입장을 바탕으로 악을 감소시킬 수 있는 근원적 처방에 대래 논하시오.


4) 토론보고서 ‘나의 생각’을 을 적으세요.


 


 


 


 


 


 


4. 더 생각할거리


 


1) 사이코패스


2) 이기주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 : 합리적 이기주의


 


 


 


 


 


 


 


 


 


 


주제탐구 내용



성선설



 



성선설은 맹자가 처음 주장하였는데, 인의예지의 사단은 천성에서 발생 하므로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것이다. 인간의 본성이 짐승의 본성과 다른 것은 사단에 의한 인간의 선함 때문이다. 서양에서는 성선설이 소수의 철학자와 교육자 사이에 유행되었을 뿐이다.스토아학파는 인성, 물성의 자연에 근거하여 공동의 이성 법칙을 찾았는데 인간은 단지 자연의 이성 법칙에 따라서 행하기만 하면 이것이 바로 지선한 행위라고 생각했다.이러한 관점은 시세로와 세네카에서부터 루소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끼쳤다. 루소는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한 것인데, 문명과 사회 제도의 영향을 받아 악하게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자연이 만든 사물은 모두가 선하지만 일단 인위를 거치면 악으로 변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선은 천성에 속하고 악은 인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 후 피히테, 프뢰벨 등도 이러한 성선의 관점을 주장 했다.



 





 



– 맹자(孟子)가 처음 주장.



 



–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단(四端)은 천성에서 발생 하므로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



 



→ 인간의 본성이 짐승의 본성과 다른 것은 사단에 의한 인간의 선함 때문.



 



– 서양에서는 성선설이 소수의 철학자와 교육자 사이에 유행.



 



– 스토아 학파는 인성(人性), 물성(物性)의 자연에 근거하여 공동의 이성 법칙을 찾았는데 인간은 단지 자연의 이성 법칙에 따라서 행하기만 하면 이것이 바로 지선(至善)한 행위라고 생각했다.



 



– 루소는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한 것인데, 문명과 사회 제도의 영향을 받아 악하게 되었다고 생각.



 



→ “자연이 만든 사물은 모두가 선하지만 일단 인위(人爲)를 거치면 악으로 변한다.”



→ 선은 천성에 속하고 악은 인위에 속한다



 



– 피히테(Fichte, 1762∼1814), 프뢰벨(Fr bel, 1782∼1852) 등도 ‘선은 천성에 속하고 악은 인위에 속한다’는 성선의 관점을 주장.



 





 





 



성악설



 



‘사람의 성품은 누구나 착하다’는 입장은 유교의 기본적 입장이다. 특히, 순자는 성악설을 제창하여 “인간의 성품은 악하다. 선한 것은 인위다.”고 하였다. 이것은 선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후천적임을 지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선은 타고나면서부터 가지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인 결과인 것이다. 순자의 성은 인간의 감성적 욕구의 측면을 지칭한 것인 만큼, 맹자가 비감성적이고 순수한 인간 본성을 일컬었던 것과는 근본적으로 그 지칭하는 대상이 다르다. 맹자는 심선을, 순자는 정악을 주장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러므로 순자의 선은 인위로써 인간이 노력하면 성취되는 것이다. 이를 일러 ‘화성기위’라 하였다. 이것은 후천적인 작위에 의하여 기질을 변화시킴으로써 선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순자의 관점은 행위 규범으로써의 예의 준행을 강조한 점에 잘 나타나 있다. 맹자는 인간의 내심을 성찰을 위주로 후세의 이기 심성 철학의 소지를 마련한 반면에, 순자는 예의법정을 강조하여 형명법술을 주로 하는 법가가 나오게 될 계기를 주었던 것이라 하겠다. 중국의 성악설은 성선설 다음에 건립되었지만 서양에서는 성악설이 생기고 난 뒤에 성선의 관점이 대두되었다. 기독교의 원죄는 인간의 본성이 근본적으로 악하다는 관점에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중세의 아우구스티누스 이래의 논자들은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 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 후, 마키아벨리는 당시 이탈리아 사회의 부패를 직접 보고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단정하였고, 홉스는 자연 상태를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라 가상하여 인간의 본성이 악함을 추론하였으며, 그리고 쇼펜하우어도 죄악이 인간 본성 가운데 뿌리 깊게 박혀 있기 때문에 제거할 방법이 없다고 하였다.



 





 



– 순자(荀子)는 성악설을 제창하여 “인간의 성품은 악하다. 선한 것은 人爲다.”고 하였다.



 



→ 순자의 성(性)은 인간의 감성적 욕구의 측면을 지칭한 것인 만큼, 맹자가 비감성적이고 순수한 인간 본성을 일컬었던 것과는 근본적으로 그 지칭하는 대상이 다르다.



 



→ 맹자는 심선(心善)을, 순자는 정악(情惡)을 주장.



 



→ 순자의 선은 인위(人爲)로써 인간이 노력하면 성취되는 것 <화성기위(化成起僞)>



 



– 선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후천적임을 지적



 



→ 선은 타고나면서부터 가지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인 결과.



 



– 중세의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354∼430) 이래의 논자들은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 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 마키아벨리(Marchiavelli, 1447∼1527)는 당시 이탈리아 사회의 부패를 직접 보고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단정.



 



– 홉스(Hobbes, T., 1588∼1679)는 자연 상태를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라 가상하여 인간의 본성이 악함을 추론.



 



– 그리고 쇼펜하우어(Schopenhauer, 1788∼1860)도 죄악이 인간 본성 가운데 뿌리 깊게 박혀 있기 때문에 제거할 방법이 없다고 하였다.



 





 



 



성무선악설 性無善惡說(=성무선무악설)



 



영국 경험론의 전통(로크, 흄)은 인간의 본성은 태어날 때 텅 비어 있는 ‘백지’와 같다고 본다. 인간의 본성은 생득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정의될 수 없는 가변적이라는 입장이다(탈선천성, 탈규정성). 이러한 입장은 행동주의라 불리는 심리학적 유파에 의해 전승된다. 왓슨과 스키너에 따르면, 인간의 행동은 유일한 유전적 특질로서의 생리적 반사를 제외하고는 오로지 환경적 변수들의 함수일 뿐이다. 즉, 인간의 모든 행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학습된 것이라고 보며, 인간 본성에 대한 일종의 경험 과학적 가능성과 그 설명 가능성을 적극 주장한다. 한편 실존주의 철학의 대표자인 사르트르도 인간의 본성을 자유로 파악한다. 그는 “실전(인간 존재)은 본질에 선행한다.”고 하여, 인간에게는 당위로서의 어떠한 본질도 있을 수 없으며, 오직 무한대로서의 자유가 주어져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인간은 매 순간 선택을 감행해야 하며, 그 선택을 통한 행위에 따르는 결과에 순전한 책임을 져야 한다. 따라서, 인간성은 자유에 직면한 각 개인의 선택에 의해 끊임없이 창출되고 다시 정의 되는 것이다.



 





 



– 맹자, 순자 이후 고자(告子)는 성에는 선도 악도 없다고 주장.



 



→ 인간의 본성이 선과 불선(不善)으로 나뉘어 있지 않은 것은 마치 물이 동서로 나뉘어 있지 않은 것과 같다.<단수설(湍水說)>



 





 



* 단수설(湍水說) : “사람의 성은 마치 연못의 물과 같다. 연못의 물은 본래 ‘동쪽과 서쪽, 어느 쪽을 가려서 흐름이 없이(無分於東西)’ 그저 출렁이고 있을 뿐이다. 그러다가 연못의 동쪽 둑을 터놓으면 동쪽으로 여울져 흐르고, 서쪽 둑을 터놓으면 서쪽으로 여울져 흐른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본성도 ‘선과 악, 그 어느 쪽도 아닌(無善無惡)’ 자연 상태로 있을 뿐이다. 그러다가 식색의 본능을 촉발하는 어떤 상황에 부딪치게 되면, 주어진 조건에 따라 혹은 선한 행위로 나타나기도 하고, 혹은 악한 행위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선악의 책임은 사람이 타고난 성(본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를 촉발하는 상황과 여건을 선택하는 행위주체인 인간의 사유와 의지에 있는 것이다.” <고자(告子)>



 





 



– 인간에게는 선과 악의 본성이 모두 있어서 무엇을 어떻게 쓰느냐, 무엇을 갈고 닦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진다.



 



– 인간 안에 본성은 모두 그 안에 선과 악이 혼재해 있다.



 



→ 인간의 본성이 본래 선하거나 악한 것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선과 악이 본성 속에 함께 존재하고 있다가 선한 면이 보이기도 하고 악한 면이 보이기도 한다.



 





 



* 백지설(로크)과 성무선무악설(고자)의 차이



 



– 백지설은 인식론에 관한 내용 ↔ 성무선무악설은 윤리학에 관한 내용



 



– 백지설에 따르면, 인간은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태어난다.(경험의 도움 없이는 어떠한 것도 알 수 없다) ↔ 성무선무악설은 인간이 선한 본성을 갖고 태어나거나 악한 본성을 갖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오직 주어진 상황들이 어떤 인간을 선하게 만들 수도 있고 악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것)



 



– 백지설 : 지식의 문제 ↔ 성무선무악설 : 선/악의 문제

답글 남기기